프론트엔드 공부/웹표준 & 웹접근성
-
문제 1 : Semantic HTML 예전에는 레이아웃에서 각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는 가 대단히 많이 쓰였고, 이 당시 박스 모델을 적용한 HTML 문서는 수십 개로 중첩된 복잡한 지옥(...)인 경우가 많았다. 그나마 id나 name 속성을 이용하여 이게 무슨 용도로 사용되는 블럭인지 명시해두는 기법도 있었지만, 닫는 태그쪽은 표시가 안 되기 때문에 역시 문제가 있었다. HTML5에서는 시맨틱 웹을 중요시하여 여러가지 새로운 태그를 만들었다. 이러한 태그들을 시맨틱 태그라고 한다. 기존 HTML 표준에서도 각 태그는 대부분 의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의미가 불명확한 태그나 시대의 흐름에 뒤처진 태그가 있었다. 이에 시맨틱 웹이 중요시되면서 HTML은 문서 구조와 의미, CSS는 디자인으로 확연히 분리되고..
접근성을 지키며 마크업하기문제 1 : Semantic HTML 예전에는 레이아웃에서 각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는 가 대단히 많이 쓰였고, 이 당시 박스 모델을 적용한 HTML 문서는 수십 개로 중첩된 복잡한 지옥(...)인 경우가 많았다. 그나마 id나 name 속성을 이용하여 이게 무슨 용도로 사용되는 블럭인지 명시해두는 기법도 있었지만, 닫는 태그쪽은 표시가 안 되기 때문에 역시 문제가 있었다. HTML5에서는 시맨틱 웹을 중요시하여 여러가지 새로운 태그를 만들었다. 이러한 태그들을 시맨틱 태그라고 한다. 기존 HTML 표준에서도 각 태그는 대부분 의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의미가 불명확한 태그나 시대의 흐름에 뒤처진 태그가 있었다. 이에 시맨틱 웹이 중요시되면서 HTML은 문서 구조와 의미, CSS는 디자인으로 확연히 분리되고..
2023.03.03 -
1. 다음 중 웹 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A.W3C에서 권고하는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이다. B.웹 표준을 지키면 웹 호환성,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구조, 표현, 동작을 담당하는 코드들이 분리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해졌다. D.코드가 분리되고 파일 개수가 늘어나면서 트래픽 비용은 늘어났다. 더보기 A.W3C에서 권고하는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이다. B.웹 표준을 지키면 웹 호환성,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구조, 표현, 동작을 담당하는 코드들이 분리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해졌다. D.코드가 분리되고 파일 개수가 늘어나면서 트래픽 비용은 늘어났다. 웹 표준의 등장으로 구조, 표현, 동작의 각 영역을 담당하는 코드들이 분리되면..
웹 표준 & 접근성 종합퀴즈1. 다음 중 웹 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A.W3C에서 권고하는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이다. B.웹 표준을 지키면 웹 호환성,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구조, 표현, 동작을 담당하는 코드들이 분리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해졌다. D.코드가 분리되고 파일 개수가 늘어나면서 트래픽 비용은 늘어났다. 더보기 A.W3C에서 권고하는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이다. B.웹 표준을 지키면 웹 호환성,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구조, 표현, 동작을 담당하는 코드들이 분리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해졌다. D.코드가 분리되고 파일 개수가 늘어나면서 트래픽 비용은 늘어났다. 웹 표준의 등장으로 구조, 표현, 동작의 각 영역을 담당하는 코드들이 분리되면..
2023.03.03 -
웹 접근성이란? 웹 접근성은 장애인이나 고령자분들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것을 의미한다. Web 접근성(정보통신접근성)은 「지능정보화기본법」에 따라 웹 접근성 준수는 법적의무사항이다 웹 접근성 지침(KS C OT0003:202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2에서는 원칙 4개, 지침 14개, 검사항목 33개을 두고 있다. 웹접근성을 통과하기 위한 지침 4가지(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운용의 용이성(Operable),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견고성(Robust))을 두고 있다.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시각, 청각, 인지, 언어 등의 다양한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인식하는 데 어..
웹 접근성웹 접근성이란? 웹 접근성은 장애인이나 고령자분들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것을 의미한다. Web 접근성(정보통신접근성)은 「지능정보화기본법」에 따라 웹 접근성 준수는 법적의무사항이다 웹 접근성 지침(KS C OT0003:202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2에서는 원칙 4개, 지침 14개, 검사항목 33개을 두고 있다. 웹접근성을 통과하기 위한 지침 4가지(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운용의 용이성(Operable),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견고성(Robust))을 두고 있다.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시각, 청각, 인지, 언어 등의 다양한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인식하는 데 어..
2023.03.02 -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란? SEO는 검색 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검색 엔진에서 웹 사이트의 노출 순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의미한다. 검색(Search): 사람들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나 필요에 맞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찾고 싶을 때 하는 일. 검색 엔진(Search Engine): 사람이 해당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사이트(예: Google 또는 Bing). 검색 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 해당 검색 엔진이 해당 검색을 서비스하는 사이트와 연결하도록 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웹 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을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시키면, 해당 사이트에 대한 노출 기회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란? SEO는 검색 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검색 엔진에서 웹 사이트의 노출 순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의미한다. 검색(Search): 사람들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나 필요에 맞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찾고 싶을 때 하는 일. 검색 엔진(Search Engine): 사람이 해당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사이트(예: Google 또는 Bing). 검색 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 해당 검색 엔진이 해당 검색을 서비스하는 사이트와 연결하도록 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웹 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을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시키면, 해당 사이트에 대한 노출 기회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2023.02.28 -
웹표준이란? 웹표준은 웹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의 일관성과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격과 지침을 의미한다. 웹표준을 준수하는 것은 웹사이트가 다양한 브라우저와 기기에서 일관되게 작동하도록 보장하며, 웹페이지의 접근성과 검색엔진 최적화(SEO) 등에도 영향을 준다. 웹표준은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와 같은 국제기구나 단체에서 제정되며, HTML, CSS, JavaScript 등과 같은 웹 기술에 대한 규격이 포함됩니다. 웹표준을 준수하는 것은 웹개발자와 디자이너, 웹브라우저 제작사 등 모든 웹 생태계 참여자들의 공동 책임이며, 이를 통해 웹의 품질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크롬, 엣지, 사파리, 오페라, 파이어폭스 등 최신 웹 브라우저들은 모두 웹 표준을 지원하고있..
웹 표준, 시맨틱 태그, 크로스 브라우징웹표준이란? 웹표준은 웹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의 일관성과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격과 지침을 의미한다. 웹표준을 준수하는 것은 웹사이트가 다양한 브라우저와 기기에서 일관되게 작동하도록 보장하며, 웹페이지의 접근성과 검색엔진 최적화(SEO) 등에도 영향을 준다. 웹표준은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와 같은 국제기구나 단체에서 제정되며, HTML, CSS, JavaScript 등과 같은 웹 기술에 대한 규격이 포함됩니다. 웹표준을 준수하는 것은 웹개발자와 디자이너, 웹브라우저 제작사 등 모든 웹 생태계 참여자들의 공동 책임이며, 이를 통해 웹의 품질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크롬, 엣지, 사파리, 오페라, 파이어폭스 등 최신 웹 브라우저들은 모두 웹 표준을 지원하고있..
2023.02.28